양도소득세 완벽 가이드
🏡 부동산 매매 시 꼭 알아야 할 세금!
양도소득세 신고기한
양도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2개월 이내
신고기한 놓치면
가산세 최대 20%
🏡 양도소득세 완벽 가이드
1. 양도소득세 세율
부동산, 주식, 토지 등의 자산을 매매하여 얻은 차익(양도차익)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입니다.
🏠 양도소득세 세율
1) 1세대 1주택 (비과세 요건 미충족 시)
• 1년 미만 보유: 45%
• 1년 이상 ~ 2년 미만 보유: 35%
• 2년 이상 보유: 6~45% (누진세율 적용)
3)다주택자 (조정대상지역 내 주택 양도 시)
• 2주택 보유자: 45%
• 3주택 이상 보유자: 60%
2) 일반 양도세율
(조정대상지역 외 주택, 토지, 상가 등)
• 양도 차익 1,200만 원 이하: 6%
• 1,200만 원 초과 ~ 4,600만 원 이하: 15%
• 4,600만 원 초과 ~ 8,800만 원 이하: 24%
• 8,800만 원 초과 ~ 1억 5천만 원 이하: 35%
• 1억 5천만 원 초과: 45%
3) 1가구 1주택 양도세 비과세 요건
• 2년 이상 보유 (일반 지역) / 2년 이상 거주 (조정대상지역)
• 매매가 12억 원 이하 (초과분은 과세 대상)
•5년 이내 다른 주택을 매매하여 양도세 감면을 받은 적이 없어야 함
2. 신고 방법
• 국세청 홈택스 (홈택스 바로가기) 접속
• "신고/납부" → "양도소득세 신고" 클릭
• 부동산 정보 및 양도가액 입력
• 필요 서류 제출 후 신고 완료
3. 필요 서류
• 양도소득세 신고서
• 매매계약서 사본
• 취득 당시의 세금 계산서
• 필요 경비 증빙 서류 (중개수수료, 인테리어비 등)
📍 양도소득세 절세 방법
✅ 장기보유특별공제 활용하기
✔️ 3년 이상 보유한 경우 10~40%까지 공제 가능
✔️ 거주기간이 길수록 공제율 증가 (최대 80%)
✅ 부부 공동명의 활용
✔️ 양도 차익이 크다면 부부 공동명의로 분산하여 세금 부담 줄이기
✅ 필요경비 적극 반영
✔️ 부동산 취득세, 리모델링 비용, 중개수수료, 법무사 비용 등을 공제받을 수 있음
✔️ 증빙자료가 있어야 하므로 영수증 보관 필수
✅ 1가구 2주택자라면 비과세 전략 세우기
✔️ 기존 주택을 3년 이내 처분하면 비과세 혜택 유지 가능
✅ 증여 후 양도세 줄이기
직계 가족에게 미리 증여한 후 양도하면 세율이 낮아질 수 있음